여느 다를 것 없는 2019년이었던 것 같아요.
마을 활동도 하고 느린걸음 활동도 하고 세상은 점점 중국의 우한으로 부터 발생된 이야기에 곤두설때 쯤 제가 사는 강남에서는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오기 시작했던 것 같아요.
잘사는 동네지만 속까지는 철저히 가벼운…사회적 가치는 가지지 못한 사람들의 울림처럼…그럼에도 마을 활동에 열심히 코박고 미친듯이 하고 있었죠.
2019년 사회적 기업강의를 듣고 몇십년을 끌고왔던 느린걸음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어요.
아무것도 어떤 모양도 만들지 못했던 그 느린걸음을 말이죠..그때 아마 사만명의 회원이었던 것 같아요.
누가 알려주는 길 없었고 이걸 어떻게 끌고 가야하는 찰나에 들었던 사회적 경제는 그 가치를 찾아가게 만든 끌림 같은 거 같았어요.
다른 마을 활동과 내가 하고 있는 느린걸음에서 더 가치를 찾아야 하는 것들의 우선 순위를 잡아나가게 했던 것 같아요.
과연 나는 어떤 가치를 찾아낼 수 있을까?하는 고민들이 더 많았죠. 사람들이 모여 있다는 것 말고는 없었으니까요.
어떤 가치를 가지고 모였던 것이 아니잖아요.
아이의 재활정보를 찾기 위해 움직였었고 기록했고 그렇게 시간이 흘러 왔더라구요.
단지 그것밖에는 그 다음이 없더라구요. 치열하게 그 다음을 생각했던 것 같아요.
그때 카페로 책 리뷰 요청이 들어오고 제목이 아마 간병살인 154인의 고백이었던 것 같아요.
간병살인….
그랬죠. 책장을 넘기는 순간 마주했던 그 현실.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장애보호자가 장애인을 돌보는 또는 긴 간병에 보호자가 큰 질병에 걸리는
결국 피해자와 가해자가 같은 가족안에서 발생하는 내가 어쩔 수 없다고 느끼고 같이 데리고 가야지 하고 끝내버리는 그 순간들을 보면서
그때 아이가 다니고 있던 지역센터에서도 엄마가 뛰어내린 사건이 있었어요. 긴 시간을 노력한 그 엄마의 시간들은 모두 흩어져 버렸죠.
남겨진 아이. 떠나간 엄마
아이는 엄마가 없는 걸 느꼈나봐요. “그렇게 난리더만, 엄마 있을때는 말 안듣더니, 재도 아는가봐. ” 엄마가 없으니 고분고분해지더라는 주위의 이야기가 더없이 슬프게 들렸어요.
살아가면서 주변에서 참 많은 말들을 들어요.
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슬픈 말은 간병살인이었어요.
특히나 명절에 더 많이 일어난다는 그 말에…. 나를 향해 다가오는 그 아이를 그 가족을 …..
그래서 였던 것 같아요.
느린걸음의 처음은 시간제돌봄으로 계획을 했었죠.
보호자들을 쉬게 해주고 싶었고 그 순간을 덜어주고 싶었어요. 그건 제가 보호자였기에 더 그런지도 모르겠어요.
사업을 준비하고 계획서를 쓰고 하면서 참 많은 순간들을 겪었던 것 같아요. 장애아이의 돌봄은 그냥 육아로 보시더라구요. 아마 많은 사람이 있으시겠지만 그랬어요.
“내가 아는 돌봄은 우리 엄마가 할머니를 돌보는게 간병인데, 장애 아이를 돌보는 게 왜 간병이냐고?”
“장애아이들은 모두 질병코드를 가지고 살아갑니다. 엄마가 할머니를 돌보는 것처럼 우린 어린 치매환자들과 평생을 같이 살아간다고 보시면 되요.
그러면 우리는 평생 간병이죠. 치매는 국가책임인데 장애는 부모 책임이라서요. 소득 수준에 따라 아플 수 없는데 소득 수준에 따라 많은 것들이 정해지죠.
장애라고 부모가 더 받는 것 없습니다. 그래서 부모들을 위해 만들어 나가는 겁니다.”
시간제 돌봄을 준비하고 선생님을 모으고 가정을 모으고 그때 코로나가 시작이 되었어요. 멈췄죠. 대면이….
느린걸음은 다시 원점에서 사회적 기업가 과정을 고민하기 시작했어요.
여러분들에게 알려드리고 싶었어요. 느린걸음의 이야기들을….
비대면재활교육이라는 그 아이템으로 가기까지 수 많은 고민들을 하게 됩니다.